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치아가 패였어요. 치경부마모증이란? 원인부터 치료법까지 총정리

by Double J 2024. 4. 23.
반응형

 

 
치아경부마모증은 치아의 경부(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치아 용융성 탈각증으로서, 치아의 표면이 마모되고 감소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주로 치아를 감싸고 있는 미네랄화된 조직인 '에나멜'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잇몸 위로 노출된 치아는 단단한 법랑질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아래에는 미세한 상아질 관들이 모여 있어요. 이 미세한 관들은 액체로 가득 차 있어서 외부 자극을 신경으로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해요. 그래서 상아질이 노출되면 외부 자극에 민감해지는데, 그것이 시림이라는 통증을 유발합니다.
 
치아가 시린 이유는 보통 '치경부 마모증' 때문인 경우가 많아요. 치경부 마모증은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경계 부분에 홈이 생기는 증상이에요. 처음에는 미미한데, 홈이 깊어지면 상아질이 외부로 노출돼서 냉온 자극에 민감해져 시림을 느끼게 되요.

증상:

  1. 치아민감성: 뜨거운, 차가운, 단 음식 또는 음료에 반응
  2. 치아감각감: 압력에 민감
  3. 색깔 변화: 노란색 또는 흰색 반점이나, 치아의 표면이 투명해지거나 반짝이는 것이 관찰될 수 있음
  4. 치아의 감소: 치아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모양이 변형될 수 있음

원인:

치경부 마모증의 주요 원인은 세 가지에요.

  1. 잘못된 칫솔질: 주로 좌우로만 움직이는 칫솔질 습관이나 뻣뻣한 칫솔모를 사용하는 경우에 생길 수 있어요.
  2. 과도한 힘을 가하는 습관: 질기거나 단단한 음식을 자주 먹거나 이를 꽉 무는 습관 등이 그렇죠.
  3. 산성 음료와의 자주 접촉: 산성 음료를 자주 마시면 치아에 손상을 주어 치경부 마모증을 일으킬 수 있어요.

치경부 마모증을 방치하면 치아우식증(충치)이 생길 수도 있고, 더 심한 경우에는 신경이 노출돼 근관치료를 해야 할 수도 있어요. 홈이 심한 경우에는 충전재를 사용하여 메우거나, 치수가 노출된 경우에는 근관치료와 크라운 제작이 필요할 거예요.

치료법:

치경부 마모증을 방치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마모된 부위에는 음식물이 저류되어 치아우식증(충치)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신경이 노출되어 근관치료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마모 정도에 따라 다르며, 홈이 미미한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여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홈이 확실히 형성된 경우에는 치아와 비슷한 색상의 복합레진이나 글라스 아이오노머와 같은 충전재를 사용하여 홈을 메워 마모를 방지합니다. 이미 마모가 심각하여 치아의 중심부인 치수가 노출된 경우, 근관치료(신경치료)를 받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크라운을 사용하여 덮어야 합니다.

치과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